본문 바로가기
토 끼 사 육 정 보

토끼전래와 동서양의 인식

by 마도루스 2012. 3. 21.

    

토끼고기의 전래 및 식용과정

1) 토끼고기의 전래
토끼와 거북이가 경주를 하고 있었다. 토끼가 거북이를 보니 등이 무거워 보였다.

“거북아, 거북아! 등에 짊어진 것 좀 내려놓고 뛰어라.” 그러자 거북이가 한마디 쏘아붙였다. 
“내 신경 쓰지 말고 네 머리나 묶어라.”

2) 토끼고기의 식용과정
토끼는 삼국시대부터 사육되었다고 한다.

별주부전의 원전이 김춘추의 일화를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
토끼의 사육은 김춘추 시절 이전으로 올라간 삼국시대 초기가 아닐까 여겨진다. 
오래 사육되어 왔기에 이제 와서는 산토끼와 집토끼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산토끼는 계절에 따라 털빛이 달라지고, 싸우며 살고,번식을 7년에 한번하고,
분만 직후 눈을 뜨고, 염색체수도 48개가 되는 반면,
집토끼는 분만 후 일주일이 지나야 겨우 눈을 뜨고 염색체 수도 44개뿐이다.
그래서 산토끼가 더 약효가 있다고 한다.


토끼고기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
서양에서는 토끼를 정력이 좋은 바람둥이라고 한다.

그래서 PLAYBOY라는 상품에는 양말이나 지갑, 가방 등에 토끼를 그려두고,
playboy club과 같은 곳에서는 토끼 옷을 입은 접대부들이 손님을 맞는다.
만화영화에서도 토끼는 힘센 동물로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토끼가 즐겨 먹는 풀의 효능을 알아보면 이해가 간다.

 
토끼가 즐겨먹는 풀 가운데

현재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토끼풀과 토사자(兎絲子), 토아산(兎兒傘)이 있다.

 토아산(兎兒傘)은

비 올 때 토끼가 비를 피하는 장소로,토끼가 다쳤을 때 상처를 낫기 위해 먹는데,
한방에서는 관절염, 요통, 타박상, 종기 등의 치료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토사자(兎絲子)는

잘 알려져 있듯이 성 기능 감퇴로 남성이 발기가 안 되고 허리가 아프며
소변을 찔끔거리거나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증세에 강정제로 사용된다.

토끼풀은

한방에서 삼소초(三消草)라고 하는데
여성호르몬이 함유되어 자궁에 수축작용을 나타내고 자궁을 성숙시켜
자궁 무게를 증가시키므로 여성의 정력을 보강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토끼는 남성용 강정제와 여성용 강정제를 모두 먹는 셈이 된다.
이런 연유로 서양에서는 바람둥이라는 별명이 붙는 것 같다.


토끼 이야기(설화 및 잘못된 상식)

토끼는 수많은 설화와 전설 속에 다양한 성격으로 등장해 우리와 매우 친숙한 동물이다. 

그러나 토끼에 대해 그릇된 상식을 갖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다.

◈ 여성원리 
달의 이칭인 토월(兎月)은

달 속에 토끼가 살고 있다는 전래의 민간 의식에서 유래하였다.
달을 자세히 보면 거무스레한 부분이 있는데, 
달 속의 토끼가 떡방아를 찧고 있는 형상이라고 말해 왔다. 

생리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던 옛날에

토끼는 수컷이 없어서 암토끼가 달을 보고 배태한다든지,
새싹의 눈을 핥고 새끼를 가진다는 설까지 있었다.
그리고 암토끼가 입을 통하여 새끼를 낳는다고 믿기도 하였다.

토끼가 입으로 새끼를 토해 낸다는 속설은
토끼 토(兎)자와 토할 토(吐)자의 음이 같은 데서 유래된것이다.

토끼는 달과 연관되어 여성 원리에 속하는 동물, 즉 달의 동물로 여겨 왔다.

달의 주기와 여성의 생리현상, 달의 차가움과 음(陰)과의 관련 등으로
달과 여성, 달과 토끼를  '달-여성-토끼'는 같은 고리를 이룬다.

◈ 길흉
묘일(卯日)에 남의 집 남자가 집 안에 들어오면 좋다고 한다.

토끼가 여성 상징의 동물이기 때문이다.
반면 정월 묘일에 남의 집 여자나 나무 그릇이 집에 들어오면 좋지 않다고 한다.

◈ 언청이
임신한 부인이 토끼고기를 먹으면 언청이를 낳는다고 한다.

토끼의 윗입술이 찢어진 데서 유추된속설이다.
언청이를 한자로 토순(兎脣), 토결(兎缺)이라 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토 끼 사 육 정 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끼고기 오해와진실  (0) 2012.03.28
토끼 와 거북 이야기  (0) 2012.03.21
나라별 토끼의 생리적 특징  (0) 2012.03.20
토끼 종류별 사진  (0) 2012.03.19
토끼요리 레시피 및 성분  (0) 2012.03.18

댓글